OKOP 오케이오피

화폐연대표 / 한국은행

1950~1953

1950년 한국은행 설립부터 1953년 긴급통화조치 이전까지

1950년 한국은행 설립 후 당시 통용되던 화폐와 더불어 한국은행권을 유통하였으나 북한군이 조선은행권을 불법발행함에 따라 대통령 긴급명령을 통해 한국은행권으로 통화를 통일시켰다.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법률 제 138호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은 설립 당시 통용되던 조선은행권(100圓, 10圓, 5圓, 1圓, 50錢, 20錢, 10錢 및 5錢), 일본정부의 소액보조화폐(1錢 주화) 등을 승계하고 6.25 전쟁중인 1950년 7월 22일에 최초의 한국은행권인 1000圓권과 100圓권을 발행하여 조선은행권과 함께 통용시켰다. 전쟁 중에 북한군이 조선은행권을 불법으로 발행함에 따라 1950년 8월 28일 대통령긴급명령 「조선은행권 교환 및 유통에 관한 건」을 공표하고 1953년 1월 16일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조선은행권을 한국은행권과 교환(1:1)토록 하고 100圓권 조선은행권의 유통을 정지시켰다. 1952년 10월 10일에는 거래의 편의를 위하여 새 액면인 500圓권과 新 1000圓권을 새로 발행하였다.

1950년

  • 1950.06.12 한국은행 설립
  •          07.22 한국은행권의 최초 발행
千圓券

최초발행 1950.07.22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71 X 78mm 제조처 일본내각인쇄국
발행중지 1953. 02.17 비고 500기호까지 일본내각인쇄국제조, 무번호권
百圓券

최초발행 1950.07.22 도안소재 광화문 / 당초문양
규격 158 X 78mm 제조처 일본내각인쇄국
발행중지 1953. 02. 17 비고 무번호권

1952년

新千圓券

최초발행 1952. 10. 10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파고다공원
규격 155 X 65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53. 02. 17 비고 무번호권, 한국은행 및 천원 문자를 가로쓰기로 변경, 제조년도 표시
五百圓券

최초발행 1952. 10. 10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파고다공원
규격 145 X 61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53. 02. 17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3~1962

 

1953년 긴급통화조치부터 1962년 긴급통화조치 이전까지

1953년 한국은행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혼란을 타계하기 위해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했다. 한국은행권만을 법화로 인정하여 화폐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화폐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수행했다.

한국전쟁의 여파로 산업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물가가 급등하는 등 경제가 큰 혼란에 빠짐에 따라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1953년 2월 15일 화폐단위를 圓에서 환으로 변경(100圓 → 1환)하는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하였다. 1953년 2월 17일부터 '圓' 표시 한국은행권의 유통을 중지시켰으며 그 동안 한국은행권과 함께 저액면용으로 통용되어 오던 7종류 조선은행권(10圓, 5圓, 1圓, 50錢, 20錢, 10錢 및 5錢),과 일본정부의 소액보조화폐(1錢주화)의 유통도 전면 중지하고 '환' 표시 한국은행권만을 유일한 법화로 인정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폐의 완전한 독자성이 확보되었다. 1953년 긴급통화조치에 의해 발행된 화폐는 모두 은행권으로 1000환권, 100환권, 10환권, 5환권, 1환권이며 1962년 긴급통화조치까지 도안이나 색깔 등이 바뀐 새로운 은행권이 몇 차례 발행되었다. 한편 전쟁의 시련을 극복하고 물가가 안정되고 산업활동도 정상화됨에 따라 한국은행은 1959년 화폐체계를 정비하고 화폐제조비 절감 및 소액거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100환화, 50환화 및 10환화 등 3종의 주화를 최초로 발행하였다.

1953년

  • 1953.02.15 긴급통화조치 단행(02. 17 시행)
  • 1953.02.17 한국은행 1,000환券, 100환券, 10환券, 5환券, 1환券 발행

긴급통화조치로 화폐단위가 圓에서 환으로 바뀌었음에도 이 당시 은행권은 환을 '원'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동 은행권이 긴급통화조치의 결정 이전에 다른 용도로 미국연방인쇄국에서 제조된 것이기 때문

환

최초발행 1953.02.17 도안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발행중지 1962.06.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환

최초발행 1953. 02. 17 도안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환

최초발행 1953. 02. 17 도안소재 거북선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56 × 66㎜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8단위 번호권, 번호전후에 알파벳 표시
환

최초발행 1953. 02. 17 도안소재 당초문양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11 × 54㎜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기호에 괄호 모양
환

최초발행 1953. 02. 17 도안소재 당초문양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11 × 54㎜ 제조처 미국연방인쇄국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기호에 괄호 모양
  • 1953.3.17 한국은행 新 10 환券(황색지) 발행
    1953년 긴급통화조치시 미국에서 제조 반입하여 발행된 은행권을 국내 제조권으로 대체
新拾환券(黃色紙)

최초발행 1953. 02. 17 도안소재 남대문 / 해금강 총석정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페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 1953.12.15 한국은행 新 10 환券(백색지) 발행
新拾환券(白色紙)

최초발행 1953. 12. 15 도안소재 남대문 / 해금강 총석정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 1953.12.18 한국은행 新 100환券(황색지) 발행
新百환券(黃色紙)

최초발행 1953. 12. 18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독립문
규격 156 X 66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4년

  • 1954. 02. 01 한국은행 新 100환券(백색지) 발행
新百환券(白色紙)

최초발행 1954. 02. 01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독립문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6년

  • 1956. 03. 26 26 한국은행 500환券 발행
五百환

최초발행 1956. 03. 26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7년

  • 1957. 03. 26 한국은행 新 1,000환券 및 改 100환券 발행
    동 은행권 발행을 계기로 소액인 5환券 및 1환券을 제외하고는 미국 제조은행권을 모두 국내 제조권으로 대체
新千환

최초발행 1957. 03. 26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한국은행 휘장
규격 16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6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이승만 초상의 한복을 양복으로 변경
改百환

최초발행 1957. 03. 26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8년

  • 1958. 08. 15 한국은행 新 500환券 및 50환券 발행
五百환

최초발행 1958. 08. 15 도안소재 이승만 초상 / 당초문양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6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五拾환

최초발행 1958. 08. 15 도안소재 독립문 / 이순신장군 동상(거북선)
규격 149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1959년

  • 1959. 10. 20 한국은행 50환貨 및 10환貨 鑄貨 발행
오십환貨

소재 Cu(70), Zn(18), Ni(12)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2.86㎜ 무게 3.69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조폐창 발행중지 1975. 03. 22
십환貨

소재 Cu(95), Zn(5)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9.10㎜ 무게 2.46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조폐창 발행중지 1975. 03. 22
  • 10. 30 한국은행 100환貨 鑄貨 발행
백환貨

소재 Cu(75), Ni(25) 도안 이승만 / 액면
지름 26.00㎜ 무게 6.74g
제조처 미국 필라델피아조폐창 발행중지 1962. 06. 10

1960년

  • 1960. 08. 15 한국은행 改 1,000환券 발행
  • 종전 新 1,000환券 도안중 이승만 대통령 초상을 세종대왕 초상으로 변경
改 천환券

최초발행 1960. 08. 15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성화
규격 165 × 73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8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초상을 이승만에서 세종대왕으로 변경

1961년

  • 1961. 04. 19 한국은행 改 500환券 발행
  • 종전 新 500환券 도안중 이승만 대통령 초상을 세종대왕 초상으로 변경
改 오백환券

최초발행 1961. 04. 19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한국은행 본관
규격 156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8단위 번호권, 제조년도 표시,
초상을 이승만에서 세종대왕으로 변경

1962년(긴급통화조치이전)

  • 1962. 05. 16 한국은행 改甲 100환券 발행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추진을 위한 국민의 저축심 고취를 위하여 저축통장을 들고 있는 모자상(母子像)을
    도안으로 채택
改甲 백환券

최초발행 1962. 05. 16 도안소재 모자상 / 독립문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2. 06. 10 비고 무번호권, 기호의 괄호모양이 - -

1962~1970


기존 화폐와 액면은 동일하나 도안, 규격 등이 다른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는 경우 발행된 순서에 따라 그 분류명칭을 '原', '新', '改', '改甲' 순으로 부르던 것을 1993. 5. 1 이후부터는 1962년 3차 통화조치 이후 발행된 화폐에 대해서 그 분류명칭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부르게 되었음.

1962년 긴급통화조치부터 1969년까지

1953년 한국은행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혼란을 타계하기 위해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했다. 한국은행권만을 법화로 인정 화폐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화폐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수행했다.

새 정부는 1962년부터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퇴장자금의 산업 자금화 등을 위하여 1962년 6월 10일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하여 '환 ' 표시 화폐를 '원' 표시로 변경(10환 → 1원)하고 '환 ' 표시 화폐의 유통과 거래를 금지하였다(단, 50환화와 10환화는 75년 3월 21일까지 유통). 한국은행은 긴급통화조치에 의해 500원권, 100원권, 50원권, 10원권, 5원권 및 1원권등 6종의 새로운 은행권을 발행하였다. 또한 소액거래시 1원 미만 끝자리수 처리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1962년 12월 1일에 10전권과 50전권을 발행하였다. 이에 따라 1962년 긴급통화조치 이후 우리나라 화폐의 액면체계는 10전, 50전, 1원, 5원, 10원, 50원, 100원 및 500원의 8종이 되었다. 이후 은행권은 도안 등을 바꾸어 몇 차례 같은 액면의 새 은행권을 발행하였다. 1966년 8월 16일에는 10원화, 5원화 및 1원화 주화를 새로 발행하면서 그동안「주화의 통용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해 1/10로 조정하여 예외적으로 통용시키던 10환화와 50환화를 대체하였다. 1962년 긴급통화조치는 경제적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하였으나 화폐사적 측면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원' 표시의 도입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1962년 긴급통화조치를 전후로 하여 이전의 화폐는 유통이 정지되어 법화로 인정되지 않으나 이후의 화폐는 모두 법화로 인정된다.

1962년 긴급통화조치이후

  • 1962.6.10 제3차 긴급통화조치 시행
가 오백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남대문 / 성화
규격 156 × 66㎜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67. 02. 03 비고 7단위 번호권,「한국은행」문자를 한글로 표기, 금속선 삽입
가 백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남대문 / 성화
규격 156 × 66㎜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69. 02. 14 비고 7단위 번호권, 기호가 없고 대신 번호 앞에 알파벳 표시, 색사혼입
가 오십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해금강 총석정 / 성화
규격 156 × 66㎜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70. 05. 20 비고 7단위 번호권, 기호가 없고 대신 번호앞에 알파벳 표시, 색사혼입
가 십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한국은행 휘장 / 액면
규격 108 × 54㎜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62. 09. 01 비고 7단위 번호권, 기호가 없고 대신 번호 앞에 알파벳 표시, 색사혼입
오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한국은행 휘장 / 액면
규격 94 × 50㎜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69. 05. 01 비고 색사혼입
일원券

최초발행 1962. 06. 10 도안소재 한국은행 휘장 / 액면
규격 94 × 50㎜ 제조처 Thomas De La Rue Co.(영국)
발행중지 1970. 05. 20 비고
  • 1962. 08. 28 「鑄貨의 通用에 관한 臨時措置法」공포 시행
    50환貨 및 10환貨를 10분의 1로 조정된 '원'화로 간주하여 그대로 통용토록 함
  • 09. 21 한국은행 나 10원권 발행
    영국 제조 은행권을 국내 제조권으로 대체
나 십원券

최초발행 1962. 09. 21 도안소재 첨성대 / 거북선
규격 140 × 63㎜ 제조처 한국조페공사
발행중지 1973. 10. 30 비고 무번호권, 인장을 한문에서 한글로 변경
  • 1962. 11. 01 한국은행 나 100원권 발행
    영국 제조 은행권을 국내 제조권으로 대체
나 백원券

최초발행 1962. 11. 01 도안소재 독립문 / 경회루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73. 10. 30 비고
  • 1962. 12. 01 한국은행 50전권 및 10전권 발행
    소액거래의 1원 미만 끝자리수 처리의 편의 도모
오십전券

최초발행 1962. 12. 01 도안소재 당초문양
규격 90 × 50㎜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0. 12. 01 비고
십전券

최초발행 1962. 12. 01 도안소재 당초문양
규격 90 × 50㎜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0. 12. 01 비고

1965년

  • 1965. 08. 14 한국은행 다 100원권 발행
    국내에서 제조된 최초의 요판인쇄 은행권
백원券

최초발행 1965. 08. 14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한국은행 본점
규격 156 × 6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0. 12. 01 비고

1966년

  • 1966. 08. 16 한국은행 나 500원권, 가 10원화, 가 5원화, 가 1원화 발행
나 오백원券

최초발행 1966. 08. 16 도안소재 남대문 / 거북선
규격 165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75. 05. 10 비고
가 십원貨

소재 Cu(88), Zn(12) 도안 다보탑 / 액면
지름 22.86㎜ 무게 4.22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가 오원貨

소재 Cu(88), Zn(12)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0.40㎜ 무게 3.09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가 일원貨

소재 Cu(60), Zn(40)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7.20㎜ 무게 1.70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0. 12. 01

1968년

  • 1968. 08. 26 한국은행 나 1원화 발행
나 일원貨

소재 Al(100)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7.20㎜ 무게 0.729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69년

  • 1969. 03. 21 한국은행 나 50원권 발행
나 오십원券

최초발행 1969. 03. 21 도안소재 파고다공원 / 봉화(무궁화)
규격 149 × 64㎜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73. 10. 30 비고 무번호권
1970~1982

기존 화폐와 액면은 동일하나 도안, 규격 등이 다른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는 경우 발행된 순서에 따라 그 분류명칭을 '原', '新', '改', '改甲' 순으로 부르던 것을 1993. 5. 1 이후부터는 1962년 3차 통화조치 이후 발행된 화폐에 대해서 그 분류명칭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부르게 되었음.

1962년 긴급통화조치부터 1969년까지

1953년 한국은행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혼란을 타계하기 위해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했다. 한국은행권만을 법화로 인정 화폐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화폐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수행했다.

1970년대는 우리나라 화폐가 현재의 액면체계를 갖추게 된 시기이다. 한국은행은 1970년 11월 30일에 100원화, 1972년 12월 1일에는 50원화를 발행하여 은행권을 주화로 대체하였다. 그리고 경제성장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거래 단위가 높아져 고액권 발행의 필요성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1972년 7월 1일 5,000원권, 1973년 6월 12일에는 10,000원권을 발행하였으며 1975년 8월 14일에는 거래의 편의를 위하여 중간액면인 1,000원권을 발행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폐는 은행권이 10,000원권, 5,000원권, 1,000원권 및 500원권 4권종이 되고 주화는 100원화, 50원화, 10원화, 5원화 및 1원화의 5화종이 되어 액면체계는 현재와 같은 「10,000원, 5,000원, 1,000원, 500원, 100원, 50원, 10원, 5원 및 1원」의 틀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화폐도안을 수정하여 1977년 6월 1일에는 나 5,000원권을, 1979년 6월 15일에는 나 10,000원권을 새로 발행하였다.

1970년

  • 1970. 07. 16 한국은행 나 10원화, 나 5원화 발행
나 십원貨

소재 Cu(65), Zn(35) 도안 다보탑 / 액면
지름 22.86㎜ 무게 4.0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나 오원貨

소재 Cu(65), Zn(35)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0.40㎜ 무게 2.95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 1970. 11. 30 한국은행 가 100원화 발행
나 백원貨

소재 Cu(75), Ni(25) 도안 이순신 / 액면
지름 24.00㎜ 무게 5.42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72년

  • 1972. 07. 01 한국은행 가 5,000원권 발행
가 오천원券

최초발행 1972. 07. 01 도안소재 이이 초상 / 한국은행 본점
규격 167 × 77㎜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0. 12. 01 비고 금속선, 자외선감지요소 삽입
  • 1972. 12. 01 한국은행 가 50원화 발행
가 오십원貨

소재 Cu(70), Zn(18), Ni(12) 도안 벼이삭 / 액면
지름 21.60㎜ 무게 4.1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73년

  • 1973. 06. 12 한국은행 가 10,000원권 발행
가 만원券

최초발행 1973. 06. 12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복궁 근정전
규격 171 × 81㎜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81. 11. 10 비고
  • 1973. 09. 01 한국은행 다 500원권 발행
다 오백원券

최초발행 1973. 09. 01 도안소재 이순신 초상 / 현충사
규격 159 × 69㎜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93. 05. 12 비고 금속선, 자외선감지요소 삽입

1975년

  • 1975. 08. 14 한국은행 가 1,000원권 발행
가 천원券

최초발행 1975. 08. 14 도안소재 이황 초상 / 도산서원
규격 163 × 73㎜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93. 05. 12 비고

1977년

  • 1977. 06. 01 한국은행 나 5,000원권 발행
나 오천원券

최초발행 1977. 06. 01 도안소재 이이 초상 / 오죽헌
규격 167 × 77㎜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93. 05. 12 비고

1979년

  • 1979. 06. 15 한국은행 나 10,000원권 발행
나 만원券

최초발행 1979. 06. 15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71 × 81mm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발행중지 1993. 05. 12 비고
1982~2005

기존 화폐와 액면은 동일하나 도안, 규격 등이 다른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는 경우 발행된 순서에 따라 그 분류명칭을 '原', '新', '改', '改甲' 순으로 부르던 것을 1993. 5. 1 이후부터는 1962년 3차 통화조치 이후 발행된 화폐에 대해서 그 분류명칭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부르게 되었음.

1982년부터 2005년까지

1980년대는 현용화폐의 형태 완성 및 고급화가 이루어진 시기다. 화폐간의 표기가 일관성 있게 통일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식별기능 및, 위조방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1980년대 이후는 현용화폐의 형태가 완성되고 고급화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1982년 6월 12일에 액면 500원 은행권을 주화로 대체하고 1983년 1월 15일에는 주화 종류별로 다소 불일치되어 있던 앞·뒷면의 액면표시 및 숫자를 일정한 크기와 배열로 조정하고 앞면에 있던 한국은행 문자를 뒷면 하단에 넣고 뒷면 상단에 제조년도를 표시하는 등 액면간 도안의 구성을 통일하여 100원화, 50원화, 10원화, 5원화 및 1원화를 발행함으로써 현용주화를 완성하였다. 은행권은 1983년 6월 11일에 현용화폐인 나 1,000원권과 함께 다 5,000원권을 발행하고 같은 해 10월 8일에는 다 10,000원권을 발행하였다. 이때 발행된 다 5,000원권과 다 10,000원권은 규격, 색상, 재질 및 도안에 있어서 라 5,000원권 및 라·마 10,000원권과 차이가 거의 없다. 이후에 부분노출은선, 광간섭무늬, 미세문자, 요판잠상, 색변환잉크, 돌출은화 등 위조방지요소를 강화하면서 1994년 1월 20일에 라 10,000원권, 2000년 6월 19일에 마 10,000원권, 2002년 6월 12일에 라 5,000원권을 각각 발행하였다.

1982년

  • 1982. 06. 12 한국은행 500원화 발행
오백원貨

소재 Cu(75), Ni(25) 도안 학 / 액면
지름 26.50㎜ 무게 7.70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1983년

  • 1983. 01. 15 현용주화(나 100원화, 나 50원화, 다 10원화, 다 5원화, 다 1원화)발행
나 백원貨

소재 Cu(75), Ni(25) 도안 이순신 / 액면
지름 24.00㎜ 무게 5.42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나 오십원貨

소재 Cu(70), Zn(18), Ni(12) 도안 벼이삭 / 액면
지름 21.60㎜ 무게 4.1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십원貨

소재 Cu(65), Zn(35) 도안 다보탑 / 액면
지름 22.86㎜ 무게 4.06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오원貨

소재 Cu(65), Zn(35) 도안 거북선 / 액면
지름 20.40㎜ 무게 2.95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다 일원貨

소재 Al(100) 도안 무궁화 / 액면
지름 17.20㎜ 무게 0.729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 1983. 06. 11 한국은행 나 1,000원권, 다 5,000원권 발행
나 천원券

최초발행 1983. 06. 11 도안소재 이황 초상 / 도산서원
규격 15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다 오천원券

최초발행 1983. 06. 11 도안소재 이이 초상 / 오죽헌
규격 156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 1983. 10. 08 한국은행 다 10,000원권 발행
다 만원券

최초발행 1983. 10. 08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기계감응요소 채택, 위·변조방지요소 강화, 시각장애인용점자표시, 유색용지 사용

1994년

  • 1994. 01. 20 위변조방지요소(부분노출은선 도입 등) 보강 라 10,000원권 발행
라 만원券

최초발행 1994. 01. 20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부분노출은선, 광간선무늬, 미세문자, 요판잠상 보강

2000년

  • 2000. 06. 19 위변조방지요소 보강 마 10,000원권 발행
마 만원券

최초발행 2000. 06. 19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경회루
규격 161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시변각 잉크, 숨은 그림 확대 및 돌출 은화 삽입, 부분노출은선 개선, 광간섭무늬 제거, 저작권 표시

2002년

  • 2002. 06. 12 위변조방지요소 보강 라 5,000원권 발행
라 오천원권

최초발행 2002. 06. 12 도안소재 이이 초상 / 오죽헌
규격 156 × 76㎜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부분노출은선(홀로그램미세문자 삽입), 숨은막대 삽입, 점자크기 확대, 요판잠상 보강, 저작권 표시
2006년 이후

기존 화폐와 액면은 동일하나 도안, 규격 등이 다른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는 경우 발행된 순서에 따라 그 분류명칭을 '原', '新', '改', '改甲' 순으로 부르던 것을 1993. 5. 1 이후부터는 1962년 3차 통화조치 이후 발행된 화폐에 대해서 그 분류명칭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부르게 되었음.

2006년이후

1953년 한국은행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경제혼란을 타계하기 위해 긴급통화조치를 단행했다. 한국은행권만을 법화로 인정 화폐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화폐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수행했다.

2006년 이후는 은행권에 첨단 위조방지장치가 적용되고 디자인 면에서도 예술적 세련미가 가미된 시기이다. 컴퓨터 관련 기기의 성능 향상으로 위조지폐가 급증하고 정교해지는 상황에 대응하여 홀로그램,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등 첨단 위조방지 적용을 더욱 확대하였다. 은행권의 크기가 선진국 수준으로 축소되어 쓰기에 편리해졌으며 색상이 보다 밝고 화려해졌다. 문자와 숫자, 총재 직인, 점자 등 전체 도안 체제가 현대적 감각으로 대폭 바뀌었다. 소재면에 있어서는 과학, 미술, 사상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소재가 채택되고 참신한 바탕무늬가 사용되는 등 도안 이미지가 복합화되었다. 특히 오만원권의 경우 도안인물로 여성(신사임당)을 채택하고 뒷면 도안을 세로 방향으로 디자인하여 다른 권종과 차별화하였다. 마 5,000원권은 2006년 1월 2일 발행되었으며, 바 10,000원권 및 다 1,000원권은 2007년 1월 22일에, 50,000원권은 2009년 6월 23일에 발행되었다.

2006년

  • 2006. 01. 02 첨단 위조방지장치 적용 마 5,000원권 발행
마 5,000원권

최초발행 2006. 01. 02 도안소재 이이 초상 / 신사임당(傳) 초충도
규격 142 × 68㎜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홀로그램,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은선, 앞뒤판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숨은막대, 볼록인쇄, 형광색사 등
  • 2006. 12. 18 크기를 줄이고 소재를 변경한 라 10원화 발행
라 10원화

소재 구리씌움 알루미늄(Cu 48, AI 52) 도안 다보탑 / 액면
지름 18.0㎜ 무게 1.22g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2007년

  • 2007. 01. 22 첨단 위조방지장치 적용 바 10,000원 권 및 다 1,000원권 발행
바 10,000원권

최초발행 2007. 01. 22 도안소재 세종대왕 초상 / 혼천의
규격 148 × 68㎜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홀로그램,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은선, 앞뒤판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숨은막대, 볼록인쇄, 형광색사 등
다 1,000원권

최초발행 2007. 01. 22 도안소재 퇴계 이황 초상 / 계상정거도
규격 136 × 68㎜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부분노출은선, 앞뒤판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숨은막대, 볼록인쇄, 형광색사 등

2009년

  • 2009. 06. 23 50,000원권 발행

50,000원권

최초발행 2009. 06. 23 도안소재 신사임당 초상/ 월매도, 풍죽도
규격 154 × 68㎜ 제조처 한국조폐공사
비고 띠형 홀로그램,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은선, 앞뒷면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볼록인쇄, 형광색사 등
 
한국은행